주식레버리지 거래는 투자마스터
상담이 필요하시면 빠른 상담 신청하기
070-4278-0598 회원가입 로그인

모두가 쉽게 할 수 있는 주식 레버리지! 안전하게 이용하는 레버리지!

믿을 수 있는 투자마스터입니다.

[굿모닝 증시]'관세 속도 조절'에 美 일제히 상승…국내엔 여파 지속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투자마스터
댓글 0건 조회 249회 작성일 25-02-14 00:00
본문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물가 불안 완화, 상호관세 속도 조절에 매수세가 살아나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다만 한국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 포함 가능성에 국내 증시에는 여파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77% 오른 4만4711.43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04% 상승한 6115.07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1.50% 뛴 1만9945.64로 장을 마쳤다.

이들 지수는 1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로 상승 출발했다. 전월 대비 0.4% 상승해 예상치(0.3%)보다는 높았지만 지난해 12월(0.5%) 대비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물가 우려를 잠재웠다. 이어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소식이 전해지며 상승폭은 더 확대됐다. 이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오는 4월 1일까지 연구를 마치고 같은 달 2일 이후 상호관세가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다. 관세 도입이 예정보다 늦춰지고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시장이 안도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세부 종목에서는 테슬라(5.77%)가 큰 폭으로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다. 미 정부의 4억달러 규모 장갑전기차량 계약 검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인도 총리 회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동행할 것이라는 소식 등이 영향을 미쳤다. 엔비디아도 3.16% 올랐고, 애플 역시 아이폰 SE 출시가 임박했다는 기대감에 1.97% 뛰었다. 이 밖에도 MS(0.37%), 아마존(0.63%), 알파벳(1.32%) 등이 상승했다. 반면 TSMC(-2.20%)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만 반도체 업체 관련 언급에 하락했다.

한국 증시와 밀접한 MSCI 한국증시 상장지수펀드(ETF)와 MSCI 신흥지수 ETF는 각각 2.16%, 0.64% 상승하며 국내 증시에 우호적인 분위기가 형성됐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1.29%)도 같은 흐름을 보였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한국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오는 15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개최되는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경제협력, 상호관세 관련 논의가 이뤄질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또 재건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 진행 상황도 관전 요소”라고 짚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