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증시]트럼프 관세 위협 지속…코스피, 상승 탄력 둔화 전망
페이지 정보

본문
19일 코스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언 등에 따른 부담감에 상승 탄력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26포인트(0.02%) 오른 4만4556.34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4.95포인트(0.24%) 상승한 6129.58, 나스닥종합지수는 14.49포인트(0.07%) 오른 2만41.26에 장을 마쳤다.
뉴욕증시는 TSMC의 인수 기대감으로 급등한 인텔(16.1%) 등 반도체주 강세에도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인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의 발언,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과정, 메타(-2.8%) 등 M7 차익실현 물량 등을 소화하면서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S&P500이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연초 이후 나스닥(3.8%) 포함 미국보다 코스피(9.5%), 코스닥(14.1%), 홍콩 항셍(14.5%), 독일 닥스(14.8%) 등 비 미국 국가들이 성과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인 부분이다. 그동안 후자 국가들을 중심으로 부정적인 주가 반응을 유발했던 악재성 변수 및 불확실성에 내성이 생겼다는 점이 긍정적인 주가 되돌림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연초 이후 코스피 등 비 미국 국가가 평균적으로 10%대 내외 상승이라는 급등 랠리를 전개한 만큼, 단기 속도 부담 및 피로감을 온전히 덜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더해 글로벌 펀드매니저들의 운용자산 대비 현금비중이 평균 3.5%로 15년 만에 최저수준을 기록했다는 점까지 고려 시, 한국 등 주요국 증시는 숨고르기성 횡보장세가 간헐적으로 출현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주요국 시장참여자들 사이에서 지수 상승에 베팅하는 모멘텀 플레이보다는 '단기 급등 업종 차익실현+소외 업종 매수'라는 순환매 플레이의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국내 증시에서도 주중 남은 기간 동안 이 같은 전제로 대응 전략을 미세 조정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전날 국내 증시는 하락세로 출발했으나 이후 삼성전자의 자사주 소각, K-칩스법 통과 소식, 러·우 종전 기대감 등으로 반도체 및 방산주 동반 강세에 힘입어 전약후강의 장세로 마감했다.
한 연구원은 "오늘은 인텔 효과, 낸드 가격 3분기 반등 기대감 등에 따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강세(1.7%)에도, 트럼프의 관세 발언, 천연가스 급등 및 Fed 위원 발언 등에 따른 미 금리 상승이 최근 증시 랠리에 대한 차익실현 명분으로 작용하면서 장중 지수 상승 탄력이 둔화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전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26포인트(0.02%) 오른 4만4556.34에 거래를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14.95포인트(0.24%) 상승한 6129.58, 나스닥종합지수는 14.49포인트(0.07%) 오른 2만41.26에 장을 마쳤다.
뉴욕증시는 TSMC의 인수 기대감으로 급등한 인텔(16.1%) 등 반도체주 강세에도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인 연방준비제도(Fed) 위원들의 발언,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과정, 메타(-2.8%) 등 M7 차익실현 물량 등을 소화하면서 혼조세로 마감했다.
이날 S&P500이 신고가를 기록했지만 연초 이후 나스닥(3.8%) 포함 미국보다 코스피(9.5%), 코스닥(14.1%), 홍콩 항셍(14.5%), 독일 닥스(14.8%) 등 비 미국 국가들이 성과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인 부분이다. 그동안 후자 국가들을 중심으로 부정적인 주가 반응을 유발했던 악재성 변수 및 불확실성에 내성이 생겼다는 점이 긍정적인 주가 되돌림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연초 이후 코스피 등 비 미국 국가가 평균적으로 10%대 내외 상승이라는 급등 랠리를 전개한 만큼, 단기 속도 부담 및 피로감을 온전히 덜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더해 글로벌 펀드매니저들의 운용자산 대비 현금비중이 평균 3.5%로 15년 만에 최저수준을 기록했다는 점까지 고려 시, 한국 등 주요국 증시는 숨고르기성 횡보장세가 간헐적으로 출현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주요국 시장참여자들 사이에서 지수 상승에 베팅하는 모멘텀 플레이보다는 '단기 급등 업종 차익실현+소외 업종 매수'라는 순환매 플레이의 선호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국내 증시에서도 주중 남은 기간 동안 이 같은 전제로 대응 전략을 미세 조정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전망했다.
한편 전날 국내 증시는 하락세로 출발했으나 이후 삼성전자의 자사주 소각, K-칩스법 통과 소식, 러·우 종전 기대감 등으로 반도체 및 방산주 동반 강세에 힘입어 전약후강의 장세로 마감했다.
한 연구원은 "오늘은 인텔 효과, 낸드 가격 3분기 반등 기대감 등에 따른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강세(1.7%)에도, 트럼프의 관세 발언, 천연가스 급등 및 Fed 위원 발언 등에 따른 미 금리 상승이 최근 증시 랠리에 대한 차익실현 명분으로 작용하면서 장중 지수 상승 탄력이 둔화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 이전글달러 약세와 엔화 강세의 합작…환율 1430원 저항선 하회 시도[외환브리핑] 25.02.21
- 다음글[마켓뷰] "너무 달리는거 아냐" 연기금이 끌고가는 코스피 랠리 25.0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