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기대 부풀어…S&P500·나스닥 고점 경신 [뉴욕증시 브리핑]
페이지 정보

본문
9월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예상치를 밑돌면서다.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도 최고치를 경신했다.
1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83.52포인트(1.1%) 상승한 4만4458.6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일 대비 72.31포인트(1.13%) 오른 6445.76에, 나스닥 지수는 296.5포인트(1.39%) 뛴 2만1681.9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이날 각각 종가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치에 부합하자 투자심리가 개선된 모습이다. 미 노동부는 7월 미국 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 6월(2.7%)과 같고,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8% 상승)도 밑돌았다.
금리 인하 기대감도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이날 94%로 반영했다. 전날보다 8%포인트 올랐다.
중국과 관세 휴전이 연장된 점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0일 관세 휴전의 마지막 날인 이날 '관세 휴전'을 90일 더 연장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CNBC와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대형 기술주는 일제히 상승했다. 메타가 3.15% 올랐으며, 마이크로소프트(1.4%), 알파벳(1.25%), 애플(1.09%), 엔비디아(0.55%), 테슬라(0.53%)도 강세를 보였다. 인텔은 5.46% 올랐다. 사퇴 압박을 받은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서클은 1.27% 올랐다. 2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면서다. 다만 1000만주 증자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애프터마켓에서 5% 넘게 하락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83.52포인트(1.1%) 상승한 4만4458.6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일 대비 72.31포인트(1.13%) 오른 6445.76에, 나스닥 지수는 296.5포인트(1.39%) 뛴 2만1681.9에 각각 마감했다.
S&P 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이날 각각 종가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치에 부합하자 투자심리가 개선된 모습이다. 미 노동부는 7월 미국 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 6월(2.7%)과 같고,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8% 상승)도 밑돌았다.
금리 인하 기대감도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이날 94%로 반영했다. 전날보다 8%포인트 올랐다.
중국과 관세 휴전이 연장된 점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0일 관세 휴전의 마지막 날인 이날 '관세 휴전'을 90일 더 연장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CNBC와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대형 기술주는 일제히 상승했다. 메타가 3.15% 올랐으며, 마이크로소프트(1.4%), 알파벳(1.25%), 애플(1.09%), 엔비디아(0.55%), 테슬라(0.53%)도 강세를 보였다. 인텔은 5.46% 올랐다. 사퇴 압박을 받은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서클은 1.27% 올랐다. 2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면서다. 다만 1000만주 증자에 나선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애프터마켓에서 5% 넘게 하락하고 있다.
- 이전글"물가 우려 덜었다"…美 9월 금리인하에 베팅하는 시장[외환브리핑] 25.08.13
- 다음글[굿모닝 증시]국내 증시 혼조세 전망…반도체株 주목 25.08.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